본문 바로가기

KIMM NEWS
[일반] 2020년 국내 기계산업 불확실성 증대로 불황 이어져
  • 작성자관리자
  • 등록일2020.02.13.
  • 조회수6,261

 

2020년 국내 기계산업 불확실성 증대로 불황 이어져

- 2019 기계산업 내림세 뚜렷 -

- 2020 반도체 장비, 공작기계 위주 안정세 전망 -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 원장 박천홍)2020년 국내 기계산업이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기계연은 2020년 국내 기계산업 생산액을 전년(104.1조 원) 대비 1% 안팎의 소폭 성장 또는 전년 수준을 유지하는 105조 원대로 예측했다. 2019년 국내 기계산업 생산수출수입 모두 하락폭이 커 기저효과를 고려한 전망이다. 이 같은 내용은 2월 발간한 기계기술정책 제97기계산업 2019년 성과와 2020년 전망에 담겼다.

 

 

우리나라 기계산업 생산 및 수출입 추이와 2020년 전망

 

 

2020년 한국 기계산업은 소폭 성장을 기록하며 반등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럽 제조업의 경기가 다소 회복세를 보이고, 신흥국의 기반 투자가 확대되면서 긍정적인 신호를 보이기 때문이다. , 중 무역 분쟁의 향방을 비롯하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일본의 수출규제 등 글로벌 불확실성도 강화될 여지가 있어 긍정적인 효과는 소폭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올해 기계산업 분야는 정부의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정책이 산업계에 적용되며 회복세를 견인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산업용 로봇, 스마트 공장 고도화 등 미래분야에서도 육성 의지를 보이는 만큼 기계산업 분야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업종별로 보면 반도체 장비와 공작기계 분야가 안정을 유지할 전망이다. 반도체 장비 분야는 반도체 시장이 서서히 회복하며 전방산업이 상승세를 보이며 전년 대비 성장이 예상된다.

 

공작기계 분야는 2019년 내수와 수출 모두 약 20%의 큰 폭으로 감소했으며, 업종별로도 자동차 분야 8.4%(전년 동기대비)를 비롯해 전 업종에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기저효과를 고려하면 전년 대비 성장이 전망된다.

 

2025년까지 소비자 가전 시장의 성장과 위탁생산(파운드리) 확대 등으로 세계 반도체 장비 시장이 연 9%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점도 긍정적이다. 연구진은 향후 반도체 장비 시장의 신기술 도입에 따라 새로운 장비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만큼 메모리 시장의 변화에 따른 시장 변화 대응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플랜트와 건설기계 분야는 침체가 전망된다. 플랜트 분야의 주요 섹터인 해양과 담수발전 분야 수주가 많이 증가했지만, 수주액 10억 달러 이상의 대형 프로젝트 수주는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건설기계 분야도 중국의 교체 주기가 마무리되며, 2020년 생산, 수출, 내수 모두 감소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기계산업 세부 업종별 2019년 실적 및 2020년 전망 기상도

 

    

 

기계연 연구전략실 박주형 실장은 기계산업의 중장기적인 수출 성장을 위해 정부의 소재부품장비 산업 경쟁력 제고 의지를 반영한 전방 산업 육성 정책이 강화돼야 한다이와 함께 핵심 전략 품목 기술개발과 글로벌 공급망을 다변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기계연구원은 기계산업 동향을 분석하고 정책을 제안하는 전문지식지 기계기술정책을 매년 4회 이상 발간하고 있으며 기계분야 국책연구기관으로서 싱크탱크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기계기술정책은 기계연 홈페이지에서 정기구독 신청 및 다운로드할 수 있다.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